[운영체제 1-2-2장.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- 저장장치의 구조]
[저장장치 정의와 표기]
- 비트 / 바이트(8bit) / 워드
- KB(2^10바이트) / MB(2^20바이트) / GB(30) / TB(40) / PB(50)
[DMA(직접 메모리 접근) 구조]
: 빠른속도의 I/O 장치들은 interrupt가 매우 많이 발생한다.
=> 기존 CPU에 부담이 됨
=> 해결책) I/O만 담당하는 보조 CPU(= Channel)을 사용.
- Channel은 I/O Device의 일부 장치로 취급하며, Channel이 직접 메모리에 접근(CPU의 역할)을 해서 DMA라 부른다.
[저장장치 구조]
- 메인 메모리 : CPU가 직접 접근가능한 큰 저장장치
<특징> 랜덤 접근 : 주소있으면 바로접근 / 휘발성(Volatile)
- Secondary Storage(메인 메모리 하위전부) : 비휘발성 저장장치
ex. HDD(Magnetic Disk), SSD(Solid-State Disk)
[캐시(Cahing)]
: 저속 Storage의 일부 내용을 고속 Storage로 가져오는(Copy) 방법
: CPU가 자주 사용하는 부분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성능 향상을 꾀함.
<Caching의 단점>
: CPU가 cache의 정보를 읽기만 하면 괜찮은데, 쓰기 활동을 하면,
(Cache는 Memory의 일부분을 Copy한것) 두 저장공간의 내용이 서로 달라져 문제가 발생(cache는 휘발성)
[장치 드라이버(Device Driver)] (kernel(OS)와 컨트롤러 사이에 위치)
: 각 I/O 장치마다 존재하는 해당 장치의 컨트롤러)
* 장치 드라이버는 OS(운영체제)의 일부.
====
[부분정리]운영체제의 요소(일부)
1. Interrupt 처리함수
2. 장치 드라이버
====
'기타 > [운영체제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-5장. 운영체제 연산 (0) | 2019.03.14 |
---|---|
1-4장. 운영체제의 구조 (1) | 2019.03.11 |
1-3장. 컴퓨터 시스템 구조 (0) | 2019.03.06 |
1-2-1장.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- 컴퓨터 시스템 연산 (0) | 2019.03.06 |
1-1장. 운영체제가 할 일 (0) | 2019.03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