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-3장. 컴퓨터 시스템 구조

기타/[운영체제]

2019. 3. 6. 22:37

[운영체제 1-3장.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]

[단일 처리기 시스템]

: 대부분 시스템. 한개의 주CPU





[다중 처리기(Multiprocessors) 시스템] (= parallel systems, tightly-coupled systems)

: 여러개의 주 CPU를 가짐



<장점>

1. 성능 향상(Increased throughput) : 단, 배수로 향상되진 않음(ex. CPU 2개 = 1.8배 향상)

2. 규모의 경제(Economy of scale) : 여러개의 컴퓨터 사용하는것보다 경제적

3. 신뢰도 향상(Increased reliability) : 작동중 CPU 한개가 멈춰도 작동



<종류>

1. 비대칭(Asymmetric) 다중처리기 

: 메모리가 1~N개, NUMA(비균등 메모리 접근 : CPU별 메모리를 공평히 사용하지 않는 구조). 사용X(NUMA는 성능저하유발)


2. 대칭(Symmetric) 다중처리기 (주로사용)

: 메모리 1개, CPU N개로 구성, UMA(균등 메모리 접근 : CPU들의 공평한 메모리 사용('대칭' = 공평한 메모리 사용))


+) 이같은 다중처리기는 위 그림에서 보이듯이 각자 캐시(cache)를 가지기에 캐시의 문제(단점)이 더욱 도드라짐.






[듀얼코어 디자인]

: CPU는 한개지만, 그 내부에 AL(코어)이 여러개 존재하는 구조. 요즘유행. Multiprocessor 아니지만 비슷한 효과 발휘.






[블레이드 서버(blades Servers)]

: 여러 처리기, 입출력, 네트워킹 보드들이 한개의 새시(보드배선받침대) 안에 장착되는 형태






[클러스터형 시스템(Clustered System)]

: 외관은 독립적이지만, 특수한 고속의 네트워크를 이용해 한대의 컴퓨터처럼 동작. 마찬가지로 Multiprocessor 아니지만 바슷한 효과 발휘.

<특징>

- 한개의 저장공간공유(SAN : Storage-area Network)


- 높은 가용성(High-Availability) 제공위해 사용

 : 한 컴퓨터 시스템 고장나도 작동

  1) 비대칭 클러스터형(Asymmetric) 

     : 다른 컴퓨터들이 일하는 동안, 한컴퓨터는 긴급대기모드로 설정. 일하던 컴퓨터가 다운되면, 긴급대기모드의 컴퓨터가 대신수행


  2) 대칭 클러스터형(Symmetric)

     : 모든 컴퓨터가 작동. 서로 감시. 더 효율적(응용프로그램 하나이상 실행시에만)